지난해 3월학평 표점 국어 133점, 수학 138점[베리타스알파=조혜연 기자] 28일 시행하는 2025 3월학평(2024년 3월 모의고사)의 등급컷은 어떻게 나올까. 올해 첫 모의고사인 이번 3월학평 역시 지난해와 동일하게 국어 수학은 공통+선택형으로 실시한다. 정부가 지난해 예고한 '선택과목 없는 수능'은 2028수능부터 시행, 올해 고1~3이 치르는 모의고사와 수능은 모두 해당되지 않는다. 현 수능 체제는 점수 산출법이 복잡해진 게 특징이다. 공통과목 점수를 활용해 선택과목 점수를 조정한 후 이를 표준화해 가중합을 산출, 이를 기반으로 표준점수를 최종 산출하는 방식이 됐기 때문이다. 같은 원점수라도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의 원점수 조합에 따라 표준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문제는 모의고사 실시 후 발표되는 표준점수 예측 등급컷이 수험생 입장에서 본인의 성적을 가늠하기 어려운 자료가 됐다는 것이다. 원점수 기준에서는 본인이 맞힌 문제 배점을 합산하기만 하면 되지만, 표준점수는 전반적인 시험의 난이도 등이 반영되는 지표이므로 최종 성적표가 나와야만 본인의 점수를 알 수 있다. 한 입시기관 관계자도 “문제만 풀어보고 표점 예상 등급컷을 적중시키려면 문제 난이도를 정확하게 예상해야 하고,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이 있기 때문에 더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통합형 수능 체제 이전 시행된 모의고사처럼 원점수 등급컷을 따지는 것이 불가능해져 한층 더 ‘깜깜이 입시’가 된 셈이다.3월학평은 올해 처음 실시되는 전국단위 모의고사란 점에서 ‘첫 시험대’로 인식된다. 다만 고3 재학생은 N수생이 참가하지 않는 데다 출제범위마저 제한된 ‘학평’의 한계를 구분해 향후 전략 수립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 모평의 경우 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하고 N수생도 시험에 합류해 실제 수능의...
gcadmin 2024.04.02 추천 0 조회 68
대입 지형에 지각변동이 예고된 2025학년 의대 증원이후 편입학 문호 역시 얼마나 확대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2000명이나 커진 의대문호로 인한 의약학 계열 전반의 편입문호도 커지는 것은 물론 이와함께 연고대 편입 인서울대학 편입까지 연쇄적으로 편입문호가 확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의약학 계열 편입학 322명...약대 중도탈락 25배 폭증에 힘입어>2024학년도는 PEET(일반 학부 2년 이수 후 PEET시험으로 약학과 편입 '2+4년제') 폐지 후 처음 실시되는 약학과 편입의 규모에 관심이 쏠렸다. 대학알리미가 공시한 의약학 대학 중도탈락에서 의학계열은 79명이 감소한 반면, 약학과는 6년 학부제 전환 후 206명으로 25배 폭증했기 때문이다.2024학년 의학 계열 편입(일반/학사) 모집인원은 178명으로 전년의 222명에 비해 19.8% 감소했으나 약학과 모집인원 144명을 더해 의약학 계열 편입 규모는 322명으로 전년 대비 100명 증가했다.<연고대 편입선발 700명...3년 평균 581명 웃돌아>2024학년 연고대 편입 선발인원은 700명으로 전년 735명에 비해 소폭 감소했지만 2년 연속 700명 이상을 선발하면서 인서울 상위권 편입을 주도했다. 특히 연세대는 437명을 선발해 전년 358명에 비해 79명(22.1% 증가) 늘어났다.<인서울권 대학! 대학별 중도탈락 인원 증가 불구 편입모집 소폭하락...첨단산업학과 신설로>수능 3등급 이내로 분류되는 인서울권 대학의 편입모집 인원은 6,746(일반편입 5,103명, 학사편입 1,643명)으로 전년 6,847명보다 101명(1.5%)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년 평균(2021-2023학년) 6,474명 보다는 274명 많았다.2022년 기준 인서울권 대학의 중도탈락(전체학년)은 2만 427명이었고, 이 중 신입생 중도탈락은 8,908명으로 2020년 대비 935명(11.7%) 증가했다. 특히 주요 15개 대학의 중도탈락이 급증하면서 편입선발 증가를 기대했지만 서울시립대 등의 첨단학과 신설로 인해 전년대비 소폭하락했다.<의대 2000명 증원...
gcadmin 2024.02.08 추천 0 조회 306
정시 ‘문이과 교차지원’ ‘의대쏠림’ 불확실성 증가.. 수능최저 충족률 하락 변수까지[베리타스알파=신현지 기자] 올해 불수능 영향으로 수능최저 충족률이 하락하면서 3년간의 수시이월 규모 감소세가 꺾일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3년간 수시이월 규모는 꾸준히 감소해오고 있다. 2021학년 3만6001명, 2022학년 3만1502명, 2023학년 3만263명의 추이다. 통합수능 도입 이후 교차지원 등 정시에서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대학이 수시이월 규모를 줄이고 수시에서 최대한 많은 학생을 뽑으려 노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수능최저를 충족한 학생 수 자체가 줄어들면서 대학에서 선발할 수 있는 학생 역시 줄어들면서 수시이월이 되레 증가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종로학원이 최근 3년간 서울권 대학의 수시이월 규모를 살펴본 결과, 서울권 수시이월은 최근 3년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2021학년 2751명, 2022학년 1519명, 2023학년 1150명의 추이다. 특히 자연계의 경우 2021학년 1248명에서 2023학년 455명까지 63.5%p 감소했다. 꾸준한 의대쏠림과 학령인구 감소, 문이과 교차지원 등의 영향으로 정시에서 학생 선발이 어려워지자, 대학은 여러 번의 추합을 통해서라도 수시 합격생을 선발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종로학원은 올해 역시 수시이월이 줄고 서울권의 수시 추가합격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시 미선발로 인한 정시 선발에서 학령인구 감소, 문이과 교차 등 불확실성 증가로 수시에서 최대한 뽑으려고 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과거와 달리 내신 성적이 다소 낮더라도 수시에서 뽑으려고 하는 입장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반대로 일각에서는 되레 수시이월 규모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한다. 올해 수능이 전례 없는 불수능으로 출제되면서 수능최저를 맞추지 못한 학생이 증가했기...
gcadmin 2023.12.22 추천 0 조회 136
‘13년만에 만점자 없는 수능' 가능성 커져..'킬러없는 쉬운 수능의 대반전'[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이례적인 ‘만점자 침묵’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는 베리타스알파의 수능 다음날 최초 보도(관련 기사: [2024수능] "만점자 없는거 아냐".. 고교현장/N수 입시업체 ‘가채점 전례없는 침묵') 이후 4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만점자 소식은 전무하다. 이대로라면 13년 만의 '만점자 없는 수능'이 될 공산이 크다. 특히 킬러문항 배제로 쉬운 수능을 기대했던 교육현장에서는 만점자없는 '역대급불수능'이라는 대반전으로 더 큰 혼란에 빠져드는 모습이다.  만점자 없는 수능이 점쳐지는 원인으로는 30%대 정답률인 중상난도 문제의 출제비중이 높아지면서 체감 난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답률이 30~40% 사이인 중상난도 문항이 93개로 지난해 58개에 비해 35개가 늘어나 37.6% 증가율로 나타났다.2024수능만점자 소식이 전무한 상황에서 중상난도 출제비중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올해 수능에서는 중상난도 문항이 늘어난 대신 초고난도 문항은 줄었다. 정답률 30% 이하인 초고난도 문항이 전년 대비 30.3% 감소했다. 구간을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정답률 10%인 난이도 극상의 문항은 8개로 지난해 13개에 비해 38.5% 줄었다. 정답률 20% 이하로 확대하면 23개로 지난해 30개 비해 23.3% 감소했다.분석에 따르면 상위권 동점자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상위 1000등의 표준점수 합산의 크기로 그래프를 그려 2023~2024수능을 비교한 결과 올해 표점 합산 크기가 더 크며 기울기가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표점 합산이 더 크다는 것은 점수 구간이 더 넓다는 의미로, 학생들이 분포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크다는 것이며 이는 동점자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기울기가 급격한 것은 등수가 내려갈 때 점수 차이가 커지는...
gcadmin 2023.11.22 추천 0 조회 104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시설을 견학하고 있다. 연합뉴스첨단산업 인재 확보를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은 2022년부터 5년간 10대 전략 분야에 약 1조3,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위대한 재건' 정책을, 중국은 7대 과학기술과 8개 산업 분야에 5년간 2조1,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과학기술 자립자강'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일본과 유럽연합(EU)도 이런 물결에 따라 기술패권 경쟁에 참전 중이다.우리 정부도 올해 2월 5대 인재 양성 핵심 분야, 이른바 'ABCDE'를 설정했다. A는 항공·우주 미래모빌리티(Aerospace/Mobility·항공 드론 지능형로봇 미래자동차 우주), B는 바이오헬스(Bio health), C는 첨단 부품·소재(Component·차세대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나노), D는 디지털(Digital·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양자), E는 환경·에너지(Eco/Energy)다.첨단산업 인재 양성에서 대학은 빠질 수 없는 핵심 주체다. 정부는 산업계 인사들이 대학 교육에 적극 참여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의 계약학과 설립 시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등 시장 수요에 맞는 인재가 대학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 교육을 유연화·개방화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대학가에선 구조조정이 주요 화두지만, 첨단 기술이나 신산업 분야만큼은 수도권·비수도권 대학을 가릴 것 없이 정원 확대에 힘쓰며 적극 뛰어들고 있다. 2024학년도 정원은 △반도체 14개 학과 654명 △미래차·로봇 11개 학과 339명 △에너지·신소재 7개 학과 276명 △바이오 5개 학과 262명 △인공지능 7개 학과 195명 등이 늘어난다.첨단산업 인재 양성은 대학 생존이...
gcadmin 2023.09.13 추천 0 조회 131
gcadmin 2020.05.27 추천 0 조회 214